안녕하세요.
기술자놈 입니다.
오늘은 #조립 의 제일 #기초 인 #직각 에 대해 설명 하겠습니다.
현장에서는 #스라 #슬아 #슬하 이러한 용어로 불립니다.
일본어 인지 아니면 발음 나는 대로 불리다 보니 저렇게 된건지 알 수는 없습니다.
저는 그냥 #직각 이라 명명 하겠습니다.
조립의 제일 기초는 직각을 맞추는 것입니다.
#직각 은 말 그대로 90도를 의미 합니다.
두 선이 교차하는 부분으로 한면과 다른 한면이 직선을 이루어야 하며
평행 상태의 90도가 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 것은 모든 부품에는 #공차 라는 부분이 존재 합니다.
각각의 부품의 #공차 가 조립을 하게 되면 누적이 됩니다.
만약 0.1mm라는 공차가 한가지의 부품에서 있다고 가정하면
두개가 조립이 되었을 경우 0.2mm의 공차로 불어 날 수 있습니다.
이는 #누적공차 라고 합니다.
#누적공차 는 단순 조립품에서는 별로 의미가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립이 다 된 장비의 구동에서는 0.1mm 오차는 운이 안좋을 경우 장비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전체 재조립이라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3D 부품을 보면서 말씀하겠습니다.
3가지의 부품이 있습니다.
각기 다른 모양과 대칭의 부품 입니다.
이것은 완성이 된 상태의 조립품 입니다.
정말 간단하게 생겼습니다.
위의 블럭의 경우 #홀 과 #카운터보어 로 구멍이 뚤려 있습니다.
홀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랜치볼트에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넣어 체결력을 높여 줍니다.
위와 같은 순서로 볼트와 와셔가 결합이 되어야 합니다.
평와셔의 경우는 둥근 부분이 바닥으로 보이게 결합을 합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완전한 체결을 위해 꺼끄러운 부분이 바닥으로 향해 조립이 되어야 체결이 잘되지만 장비사에서는 제품의 면에 스크레치 발생으로 인해
뒤집어 사용을 하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후처리가 도장으로 된 경우는 도장의 면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둥근 부분을 바닥으로 해서 조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방법적인 부분은 정답은 없습니다.
고객사와 협의 후 진행 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들은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 말씀 드린 부분입니다.
다시 조립으로 넘어가서 아래의 사진을 보겟습니다.
사진의 보이면 직각 상태가 조립이 잘된 부분입니다.
위의 상태도 조립이 된 상태 입니다.
보시면 약간의 단차가 보입니다.
이는 TAP 즉 나사산 과 카운터보어 즉 홀의 유격에서 발생된 조립 불량 입니다.
홀의 경우 일반적으로 볼트 보다 크기가 좀더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간의 움직으로 틀어질 수 있습니다.
이부분을 생각하지 않고 조립을 한다면 위와 같은 조립 상태가 될 것입니다.
위사 사진을 보시면 홀과 탭의 간격이 맞게 조립 됩니다.
하지만 확대를 해보면 위의 사진처럼 단차가 발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단차가 발생하면 조립 불량이 됩니다.
단순히 조립은 별거 없다고 생각 할 수 있지만 디테일이 들어가야합니다.
단순한 소재 덩어리가 부품이 된고 부품들이 하나의 모듈이 되고
모듈이 모여서 하나의 구동체가완성되고
구동체들이 모여 하나의 장비가 되었을 경우를 생각 해 보시면
절대로 쉽게 생각 할 부분이 아닙니다.
조립 NG
조립 OK
여러분이라면 위의 두 사진 중 어떻게 작업을 하시 겠습니까?
당연히 조립 OK 사진 처럼 하겟다고 생각 하실 겁니다.
오늘은 조립 직각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노력하지 않으면 앞으로의 비젼은 없습니다.
노력하지 않고 많은 것을 바란다면 잘 못 된 것입니다.
초보자 분들 열심히 노력하시고 그만큼 보여주고 많은 돈을 벌어가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조립
#기초
#직각
#스라
#슬아
#슬하
#공차
#누적공차
#홀
#카운터보어
#제작공정
#조립공정
#측정공정
#기계가공
#조립라인
#조립기술
#조립공구
#조립도구
#측정도구
#공작기계
크린 가방(크린룸) (0) | 2023.04.06 |
---|---|
방진복 (0) | 2023.04.06 |
DP게이지(ZSE40A / ISE40A) (0) | 2023.04.06 |
스냅링(E링, C링) (0) | 2023.04.06 |
센서 체커 (sensor checher)(오므론 / Autonics) (0) | 2023.04.06 |
댓글 영역